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적금 청년지원사업 총정리해보겠습니다. 청년지원사업에 대해 아시는 분들은 청년내일 저축계좌에 대해 알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것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청년희망적금 외에도 몇 가지 사업이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신청 조건이 맞는다면 꼭 확인해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기본 중위소득 100% 이하, 연 소득 2,200만 원 이하의 청년(만 19~39세 이하)이 3년간 최대 1만 원씩 총 36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최소 360~1,08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계좌를 개설한 본인과 정부가 1:1 비율로 저축을 하는 개념이며 목돈을 마련하기 좋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대상
-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9세 이하 청년
- 중위소득 100% 이하, 연 소득 2,200만 원 이하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을 통해 최근 3개월간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 100%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1,827,831원 | 3,088,079원 | 3,983,950원 | 4,876,290원 | 5,757,373원 | 6,628,603원 |
※ 중위소득 100%를 가구 수에 따라 확인하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 1차 : 2021.2.1 ~ 2021.2.19
- 2차 : 2021.5.3 ~ 2021.5.20
- 3차 : 2021.8.2 ~ 2021.8.19
- 4차 : 2021.10.11 ~ 2021.10.28
신청 기간에 맞게 신청하면 됩니다. 현재 마지막 4차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방법은 거주하는 관할 지역의 주민센터를 방문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시/군/구에서 신청자 자격을 확인한 뒤 대상이 확정되면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사회초년생의 목돈마련을 위한 상품으로 2년 만기 월 최대 50만 원을 저축하면 시중 이자에 더해 1년 차에는 2% p, 2년 차에는 저축액의 4% p의 장려금을 제공하는 고금리 상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신청 조건
- 연소득 3,600만 원 이하 청년
- 연 납입한도 : 600만 원
- 만기 기간 : 2년 만기
- 예상 만기 수령금 : 2년 만기 시 1,200만 원 + 시중금리 + 저축장려금 36만 원 수준
청년희망적금 신청방법
- 8차 : 2021.9.1 ~ 2021.9.16
- 9차 : 2021.10.1 ~ 2021.10.20
- 10차 : 2021.11.1 ~ 2021.11.18
살고 있는 지역의 주민센터에 방문해서 지원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관련 서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작성 후 제출하면 됩니다.
청년지원사업
청년지원사업은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외에도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국내 상장 주식에서 40% 이상 투자하는 펀드에 가입할 때 펀드에 납입한 금액에서 연 600만 원 한도 내에서 40%를 소득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신청 조건
- 만 19~34세 이하 청년층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 총 급여 5,000만 원 또는 종합소득금액 3,500만 원 이하
- 계약기간 3~5년
가입기간 동안 총급여가 8,000만 원, 종합소득금액 6,000만 원이 초과된다면 해당 과세기간은 소득공제에서 제외되며 가입 후 3년 이내 해지 및 인출, 양도하는 경우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장병내일준비적금은 국민 장병의 전역 후 학업과 취업 대비를 위해 군 복무 중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입니다. 금리는 5%대로 적금 중에서는 고금리 상품입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 조건
군 복무 중인 현역병이 대상이며 잔여 복무기간이 6개월 이상인 자만 가능합니다. 시중 은행 중 14개 은행에서 장병내일준비적금을 취급하고 있으며 국민, 기업, 신한, 우리 은행 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방법
상품 가입대상자에 해당한다면 소속기관으로부터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자격 확인서를 발급받아서 은행 창구에 제출하면 가입이 완료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등의 청년지원사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각 사업별로 신청 조건과 신청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는 조건이 있다면 내용을 확인해서 신청하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뱅크 상품으로 대출 걱정 줄일 수 있을까? (0) | 2021.10.16 |
---|---|
긴급의료비지원 조건 신청방법 제외대상을 알아보자 (0) | 2021.10.16 |
결혼식 축의금 문구 쓰는 법 금액은 얼마로? (0) | 2021.10.14 |
오피스 2019 크랙없이 정품 인증 방법으로 손쉽게 (0) | 2021.10.14 |
결혼식 비용 절약하는 방법 스몰웨딩도 좋습니다 (0) | 2021.10.14 |
댓글